지수이동평균

  • 지수이동평균(Exponential Moving Average, EMA)과 단순이동평균(SMA, Simple Moving Average)은 모두 시계열 데이터의 추세를 부드럽게 보여주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인데, 계산 방법과 가중치 부여 방식에서 차이가 있음.

1. 단순이동평균 (SMA, Simple Moving Average)

  • 방법: 일정 기간(예: 최근 5일)의 데이터를 단순히 평균내는 것.
  • 예) 최근 8일 종가가 7, 8, 9, 10, 12, 11, 13, 14라면
    • (10 + 12 + 11 + 13 + 14) / 5 = 12
  • 모든 기간 데이터에 같은 가중치(동일한 비중)를 줌
  • 특징
    • 오래된 데이터와 최신 데이터가 같은 비중으로 반영됨.
    • 데이터가 갑자기 변할 때 반응이 느릴 수 있음.

2. 지수이동평균 (EMA, Exponential Moving Average)

  • 방법: 최근 데이터에 더 큰 가중치를 주고, 과거 데이터는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가중치를 줌.
  • 최신 데이터가 훨씬 더 큰 영향을 줌
  • 특징
    • 변화에 더 민감하고 빠르게 반응.
    • 과거 데이터 영향은 점점 줄어듦.

지수이동평균 수식

계산식

  • : 현재 시점 데이터 값
  • : 이전 시점 지수이동평균 값
  • : smoothing factor (보통, )

가중치 감소

  • EMA는 현재 데이터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주고, 이전 데이터일 수록 점점 작은 가중치를 주는데 그 감소 속도가 지수 함수 형태로 줄어든다.
  • 수식을 풀어보면 아래와 같다.
  • 각 시점의 데이터에 곱해지는 가중치를 보면 의 형태로 지수적으로 줄어 든다.

예시

  • 데이터 : [4, 10, 30, 20, 50, 100, 20]
t데이터 EMA 계산식EMA 값
04초기값4
1100.5x10 + 0.5x47
2300.5x30 + 0.5x718.5
3200.5x20 + 0.5x18.519.25
4500.5x50 + 0.5x19.2534.625
51000.5x100 + 0.5x34.62567.3125